[뉴스현장] 한중 입국제한 해제에 '비자갈등' 일단락…한중관계 전망은?<br /><br /><br />앞서 베이징 연결해 한국인 단기 비자 발급 재개 발표 이후 중국의 분위기 알아봤는데요.<br /><br />비자를 둘러싼 한중 갈등이 약 40일 만에 해소되는 모양샙니다.<br /><br />비자 발급 재개로 양국 간 왕래가 본격화될지, 앞으로 한중관계는 어떻게 흘러갈지, 이문기 세종대학교 중국통상학과 교수와 자세한 내용 짚어봅니다.<br /><br /> 중국이 한국 국민에 대한 단기 비자 발급 중단을 해제하기로 했습니다. 그럼, 우선 언제부터 비자 발급이 가능한 건가요?<br /><br /> 중국 정부의 단기 비자 발급은 우리 정부 움직임에 대한 상응 조치였거든요. 그런데 우리 정부는 PCR 음성 결과 제출 등 일부 조치는 당분간 남기기로 했어요. 중국도 이 조치는 계속 시행할까요?<br /><br /> 중국은 이런 조치에 대해서 '상호주의 원칙'을 얘기했었죠. '눈에는 눈, 이에는 이' 식 외교정책인 건데요. 중국 전문가 교수님께선 중국의 이런 대응,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일각에선, 중국 정부가 유독 한국에만 쉽고 강하게 보복하는 것 같단 시각도 있는데요. 맞습니까?<br /><br /> 일단 한중이 비자 중단 조치를 해제하면서 '방역 갈등'이 일단락되기는 했거든요. 그런데, 이 과정에서 양국 간 감정이 상한 것 아니냐, 나빠진 국민감정을 돌리기도 쉽지 않을 거다, 이런 지적도 나오거든요?<br /><br /> 중국의 비자 중단 조치가 해제되면, 중국인 관광객이 좀 늘어나는 등 관광 업계가 좀 살아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한중관계에서 또 다른 뜨거운 감자, 바로 정찰 풍선 문젠데요. 이 부분도 살짝 짚어보죠. 중국 정부는 정찰 풍선 논란을 놓고 우리 정부에게 "시비곡직을 분명히 가리길 바란다"라고 얘기했습니다. 이거 어떤 의밉니까?<br /><br /> 미국 정부는 중국의 정찰 풍선 운용을 놓고 동맹국과 공동 대응 의사를 밝혔거든요. 중국은 불편한 심기를 보이고 있습니다. 우리 정부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한중관계가 연초부터 불안하게 출발한 상황입니다. 중국이 사드 배치를 문제 삼으면서 2017년 내린 한한령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고요. 냉랭한 한중관계 기류에 언제쯤 훈풍이 불 수 있을까요? 당분간 기약이 없다고 봐야 합니까?<br /><br /> 오는 3월 중국은 최대 정치행사인 '양회'를 앞두고 있습니다. 양회 이후 한중관계 접촉이 좀 늘어날 수 있을지 궁금하고요. 작년 말 시진핑 주석이 "코로나 상황이 안정되면 방한 초청에 응하겠다"라고 말했었는데요, 연내 한중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